환경 오염이 심각해 지면서 자동차 업계에서도 공해가 적은 차를 만들어 내려고 노력 중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공해가 적거나 없는 차량에 대해서는 많은 혜택을 주면서 구매를 장려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저공해차량의 조회 방법과 저공해차량 스티커 발급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4BRlK/btsv7jgd9cY/rIGV6gkRJ6UQh35kII5UNK/img.png)
저공해차량 조회 방법
저공해차량 조회 방법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저공해차량 통합누리집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조회하거나 환경부 산하 mecar에 들어가서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무공해 확인](https://blog.kakaocdn.net/dn/VU5qy/btsv5jtS4ak/eK27E4RAVznkKpykGHMoik/img.png)
첫 번째 방법은 저공해차량 통합누리집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내 차 무공해 확인" 페이지에서 차량등록번호 란에 차량 번호를 입력하면 내 차가 저공해차량인지 간단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차량 번호만 있으면 저공해차인지 조회를 해 볼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에게 차량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통합누리집](https://blog.kakaocdn.net/dn/sKtzE/btsvXfTEupP/LK7236L9zAV23qsTVtobZ0/img.png)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것이 환경부 산하 mecar입니다. mecar에서는 역시 소유 차량의 등급 조회를 할 수 있는데요.
소유 차량의 번호를 입력하는 것까지는 저공해차량 통합누리집에서 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런데 mecar에서는 이후에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한데요. 바로 개인의 휴대폰 번호를 인증하거나 카드 번호를 통해서 차량 소유자인지를 인증하는 과정입니다.
소유자 인증 과정이 있기 때문에 내 차를 아는 다른 사람이 내 차가 저공해차량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장치가 되어 있습니다. 두 사이트 모두 정부 관련 사이트이기 때문에 아무 것이나 선택해도 되지만 저라면 mecar에서 확인하고 싶네요.
![등급조회1](https://blog.kakaocdn.net/dn/CrYHG/btsvNQHdwr8/Lb0lR7hviKMXVQacjnH711/img.png)
![등급조회2](https://blog.kakaocdn.net/dn/LE3Qi/btsvYSKrjX6/aiDH6qmkZsbj76fETR1Ow0/img.png)
![등급조회3](https://blog.kakaocdn.net/dn/bf1DbQ/btsvVI2Trzk/i3LGG3HarvOzl96Xzb4Ytk/img.png)
![mecar](https://blog.kakaocdn.net/dn/w1dSm/btsvMYerujk/3KX48IK1ACTVvEw0rw5w1K/img.png)
저공해차량 스티커 발급받는 방법
자신의 차가 저공해차량으로 확인되었다면 가까운 자동차 등록사업소(자동차 등록 업무를 하는 구청 등, 예를 들어 강동구청)에 신분증과 자동차 등록증을 들고 가면 저공해자동차 스티커를 발급해 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sWVAX/btsvXTCUAO5/nA0JySrYKEBNUxTYYhniP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q6g12/btsv0xszO32/ibCZRgGQdJk3xkxqbFdr70/img.png)
서울시 강서구 같은 경우에는 저공해차량 스티커를 강서구청 본관에서 발급하지 않고, 강서구청 가양동 별관에서 발급해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저공해차량 스티커를 발급받으시려는 분은 해당 구청에 미리 확인 전화를 해보고 방문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